git 3

Git Branch란?

Git Branch란?Git은 코드의 변경 이력을 추적 관리하고, 다른 사람과의 협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도구이다. 그리고, 해당 목적을 위해 브랜치(Branch)라는 개념이 사용된다.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작성하던 코드에 오류가 있어서 뒤로 돌아가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A 시점까지 커밋을 했다 문제가 생겨 B 시점으로 코드를 되돌리고, 해당 시점에서 기존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개발을 이어가게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이 상황에서 A까지 개발이 진행됐던 프로젝트 흐름과 B 시점으로 돌아가서 새롭게 (다른 방식으로) 개발을 진행하는 프로젝트의 진행 흐름은 두 개로 쪼개진 셈이다. 이런 상황을 '브랜치가 나눠졌다'라고 부른다. 실제론 프로젝트가 잘못됐기 때문에 롤백하는 차원에서 ..

카테고리 없음 2024.11.10

Git 기본 명령어: init, status, add, commit, log

프로젝트에 Git 설치하기: git init터미널을 켜서 프로젝트를 관리할 위치로 이동한다. 이동에는 cd 명령어를 사용하고, 디렉토리를 터미널로 드래그해서 넣으면 절대 경로가 생성된다. 해당 방식으로 쉽게 원하는 디렉토리로 이동이 가능하다.cd {절대 경로}처음 디렉토리에 위치하면 아직 Git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이다. Git은 로컬에서 동작하는 설치 프로그램으로, 터미널에 git init 명령어를 치면 쉽게 설치할 수 있다. Git을 설치하면 .git 폴더가 숨김 처리되어 생성되고, 해당 폴더에서 다양한 버전 히스토리가 관리된다.Git 상태 확인하기: git statusGit에는 크게 세 가지 상태(영역)가 있다(현재 디렉토리의 깃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선 git status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Git-Github 2024.11.08

Git과 Github

Git이란?Git 홈페이지에 가면 아래와 같이 Git을 정의하고 있다.Git is a free and open source distributed version control system designed to handle everything from small to very large projects with speed and efficiency.해당 정의에 나와있듯이, Git은 '버전'을 '분산'해서 관리하는 도구이다.하나의 큰 프로젝트를 만들다 보면 개발의 진행 상황을 중간 저장해서 체크 포인트를 만들어야 할 필요가 생긴다. 만약 체크 포인트가 없이 개발한다면 개발을 쭉 하다가 과거 시점으로 코드를 되돌리고 싶을 때 과거 해당 시점부터 그 이후에 작성된 코드들을 하나씩 제거해 나가면서 롤백을 해야 할 ..

Git-Github 2024.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