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Github 3

Git 기본 명령어: init, status, add, commit, log

프로젝트에 Git 설치하기: git init터미널을 켜서 프로젝트를 관리할 위치로 이동한다. 이동에는 cd 명령어를 사용하고, 디렉토리를 터미널로 드래그해서 넣으면 절대 경로가 생성된다. 해당 방식으로 쉽게 원하는 디렉토리로 이동이 가능하다.cd {절대 경로}처음 디렉토리에 위치하면 아직 Git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이다. Git은 로컬에서 동작하는 설치 프로그램으로, 터미널에 git init 명령어를 치면 쉽게 설치할 수 있다. Git을 설치하면 .git 폴더가 숨김 처리되어 생성되고, 해당 폴더에서 다양한 버전 히스토리가 관리된다.Git 상태 확인하기: git statusGit에는 크게 세 가지 상태(영역)가 있다(현재 디렉토리의 깃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선 git status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Git-Github 2024.11.08

Git과 Github

Git이란?Git 홈페이지에 가면 아래와 같이 Git을 정의하고 있다.Git is a free and open source distributed version control system designed to handle everything from small to very large projects with speed and efficiency.해당 정의에 나와있듯이, Git은 '버전'을 '분산'해서 관리하는 도구이다.하나의 큰 프로젝트를 만들다 보면 개발의 진행 상황을 중간 저장해서 체크 포인트를 만들어야 할 필요가 생긴다. 만약 체크 포인트가 없이 개발한다면 개발을 쭉 하다가 과거 시점으로 코드를 되돌리고 싶을 때 과거 해당 시점부터 그 이후에 작성된 코드들을 하나씩 제거해 나가면서 롤백을 해야 할 ..

Git-Github 2024.11.07

CLI 기본 명령어

Git은 주로 터미널에 CLI 명령어를 작성해서 사용하는 게 일반적이다. 그래서, Git 공부 전에 간단하게 CLI 명령어 몇 가지를 살펴봤다.탐색 및 이동CLI를 사용하면 자신의 로컬 디렉토리(폴더) 내에서의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중, 탐색 및 이동과 관련된 명령어를 알아보겠다.pwdpwd는 'print working directory'의 줄임말이다. 현재 위치한 폴더의 경로를 확인하는 명령어다.> pwdCLI를 이용해 폴더 및 파일에 접근할 때에는 주로 '경로(Path)'의 개념을 사용하며, 절대 경로만 사용하는 게 아니라 자신이 현재 있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상대 경로'도 사용하기 때문에, 현재의 디렉토리 위치가 어디인지를 파악하는 건 중요하다.참고로, 절대 경로란 경로(디렉토리 위..

Git-Github 2024.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