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241101 TIL
GoJay
2024. 11. 2. 02:58
동물 앨범 만들기
- 효빈님 JS 강의에 있는 동물 앨범 만들기 실습을 진행했다.
- TODO App 한번 만들다 보니 컴포넌트 단위로 모듈을 쪼개고,
App.js
에서 통합으로 상태를 관리하는 방식이 상대적으로 익숙해졌다. - 대신, 아직 비동기 처리에 대한 부분이 많이 부족한 것 같다고 느꼈다.
- 많이 해보지 않았으니 당연하다. 조급해하지 말고, 내일부터 다시 차근차근 공부해 봐야겠다.
fetch
,axios
문법 공부하기Promise
객체에 대한 상세 내용 + 활용에 대해 추가 공부하기async
await
에 대해서도 공부하기
토이 프로젝트 준비
- 간단한 심리 테스트? 서비스 아이디어가 떠올라서 진행해보려 한다.
- 오늘 GPT랑 같이 논의하면서 간단한 기획은 마쳤고, 내일부터 작업에 바로 들어갈 수 있을 것 같다.
- 간단한 서비스지만, 배포까지 해서 사용자를 만들어볼 예정이다.
- 기획한 내용대로 개발하려면 반응형 처리나 간단한 CSS 애니메이션에 대해서 공부가 필요하다. 내일부터 차근차근 하나씩 해나가 봐야겠다.
<클린코드 자바스크립트> 강의 수강
- 명시적으로 연산자를 사용하는 게 사람이 코드를 이해하는 데 유리하다.
- 예를 들어, 전위 연산자나 후위 연산자(
++
--
)를 사용하면 증감이 이루어지는 시점 등이 애매할 수 있다. 명시적으로+= 1
이나-= 1
처럼 증감을 표현해 주는 게 가독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 연산자 우선순위도 매번 헷갈릴 수 있기 때문에, 연산자를 여러 개 사용할 경우엔 먼저 연산이 필요한 부분에 괄호
()
를 꼭 써주자. 괄호를 쓰면 연산자 우선순위를 굳이 다 외울 필요 없이 안전한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다. !(A && B)
는!A || !B
와 동일하다.!(A || B)
는!A && !B
와 동일하다. 이를 드모르간의 법칙이라고 한다. 논리 연산자를 체인 형태로 연쇄적으로 사용할 때 조금 더 명료하게 논리 흐름을 이해시키기 위해 적절하게 활용하자.
벌써 11월이다. 공부 시작한 지 이제 딱 한 달이 됐다. 많은 성장이 있었지만, 아직도 갈 길이 멀다. 마음 놓지 말고 끝까지 최선을 다해보자.